머리말
출제기준
차례
제1편 건설안전관계법
제1장 산업안전보건법
1. 산업안전보건법령의 체계 23
2. 산업안전보건법의 목적 26
3. 산업재해 28
4. 중대재해 30
5. 정부의 책무 31
6. 사업주의 의무 32
7. 근로자의 의무 33
8. 사업장의 산업재해발생 공표 34
9. 안전·보건관리조직 체계 35
10. 안전보건관리(총괄)책임자 38
11. 관리감독자 40
12. 안전관리자 43
13. 보건관리자 46
14. 명예산업안전감독관의 직무 48
15. 산업안전보건위원회 49
16. 안전보건관리규정 52
17. 안전보건교육 55
18. 위험성 평가 57
19. 안전·보건표지 61
20. 위험예방을 위한 안전조치 63
21. 건강장해예방을 위한 보건조치 64
22. 유해위험방지계획서 66
23. 공정안전보고서(PSM) 70
24. 안전·보건진단 72
25. 안전보건개선계획 74
26. 작업중지 및 중대재해 발생시 조치사항 76
27. 도급사업시의 안전·보건조치 78
28. 건설업의 산업재해 예방 80
29. 산업안전보건관리비 83
30. 건설재해예방 전문지도기관 89
31. 유해위험 기계·기구의 방호조치 92
32. 안전인증제도 95
33. 안전검사 98
34. 물질안전보건자료(MSDS/GHS) 101
35. 석면조사 104
36. 작업환경측정 107
37. 근로자의 건강진단 109
38. 질병자의 취업제한, 근로금지 및 근로시간제한 111
39. 역학조사 113
40. 산업안전지도사(건설안전분야)의 직무 114
제2장 건설기술진흥법
1. 목적 117
2. 건설사업관리(CM) 118
3. 건설기준 122
4. 건설공사 부실측정과 현장점검 124
5. 안전관리계획 126
6. 안전점검 130
7. 건설공사 안전관리 업무수행 지침 132
8. 안전관리비 137
9. 안전관리조직 및 안전교육 139
10. 중대건설현장사고 조사 141
제3장 건설기술진흥법
1. 목적, 제정배경과 주요내용 144
2. 시설물과 관리주체 146
3. 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계획(시설물관리계획) 152
4. 안전점검 및 정밀안전진단 155
5. 안전진단기관의 등록기준 161
6. 중대한 결함의 안전조치 162
7. 설계도서의 보존의무와 활용 164
8. 시설물의 사고원인조사와 사고조사위원회 166
9. 소규모 취약시설의 안전점검 168
10. 시설물정보관리종합시스템(FMS) 169
11. 사회기반 시설물의 구조안전감시 및 계측시스템 172
제4장 기타 건설안전관련법
1. 재난 및 안전관리기본법 174
2.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 181
3. 산업재해보상보험법 183
4. 제조물책임법(PL) 186
5. 석면안전관리법 188
6. 국제노동기구(ILO) 권고 190
7. 지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192
8. 중대재해 처벌법 199
제2편 건설안전관리
제1장 안전관리이론
1. 안전(관리)의 정의 207
2. 재해의 정의 208
3. 안전사고 209
4. 업무상 재해 210
5. 안전관리 211
6. 안전을 유지하는 방법 212
7. 하인리히의 사고발생 연쇄성 이론, 사고예방 기본원리 5단계, 재해예방 4원칙 213
8. 버드의 사고발생 신도미노 이론 216
9. 안전의 4기둥(재해의 기본원인)(4M) 219
10. 하비의 3E 이론 220
11. 재해요인 등치성 이론(재해의 발생형태) 221
12. 산업재해의 4형태(에너지형태에 의한 분류) 222
13. 건설재해가 근로자, 기업, 사회에 미치는 영향 223
14. 안전관리계획수립, 운영, 평가(안전관리 4Cycle) 225
15. 안전관리조직의 종류와 특징 228
제2장 재해조사 및 통계분석
1. 재해의 종류 232
2. 천재(자연적 재해)와 인재(인위적 재해) 233
3. 사고의 발생형태(기인물과 가해물) 235
4. 국제노동기구(I.L.O)의 산업재해 분류방법 236
5. I.L.O 재해구성비율(1:20:200) 237
6. 재해조사 238
7. 재해조사 시 원인분석방법 240
8. 재해통계 244
9. 산업재해율의 종류 246
10. 사망재해 7,500일 250
11. 재해손실비용 산출방법(하인리히, 시몬스, 버드) 251
12. Compes의 상해사고와 손해사고의 관계 254
13. 안전과 기업이윤의 상관관계 255
14. 재해 Cost와 안전 Cost 256
제3장 보호구
1. 보호구 258
2. 안전대 261
3. 안전모 264
4. 안전모 성능시험 266
5. 안전화 267
6. 보호구 지급 및 착용법 위반한 사업주와 근로자 조치기준 269
제4장 안전교육과 활동
1. 안전교육 일반 272
2. 안전교육의 실시방법 280
3. 교육훈련의 평가방법 284
4. 교육대상별 안전교육방법 285
5. 교육지도자의 조건 287
6. 리더십 288
7. 생애교육 290
8. 교육심리학 291
9. 법상 안전보건교육 296
10. 건설현장에서 재해예방을 위한 안전교육계획수립 301
11. 무재해운동 303
12. 위험예지훈련 306
13. TBM(Tool Box Meeting) 308
14. 브레인스토밍(Brain Storming) 309
15. 지적확인 310
16. Touch & Call 311
17. 5C 운동 312
18. 안전확인 5지운동 313
19. 건설사망재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High Five 운동 314
20. 안전문화운동 316
21. 안전순찰(Safety Patrol)과 안전당번제도 317
22. 정리, 정돈, 청소, 청결 318
23. 감성안전 319
제5장 산업심리와 인간공학, 시스템안전
1. 산업안전심리의 5대 요소 321
2. 레윈의 행동법칙 323
3. 인간의 불안전한 특성과 보완대책 324
4. 재해 빈발자와 무사고자의 특성 326
5. 건설현장에서 근로자가 안전수칙을 준수하지 않는 사유 328
6. 의식수준 5단계와 긴장 329
7. 주의와 부주의 330
8. 실수 332
9. 착오 333
10. 자신과잉 335
11. 간결성의 원리 336
12. 가현운동 337
13. 착각(착시) 339
14. 욕구불만(Lewin의 3갈등) 340
15. 근로자의 근로의욕 측정(Moral Survey) 341
16. 적응과 부적응 342
17. 적정 작업배치 343
18. 매슬로우의 욕구 5단계 344
19. 맥그리거의 X, Y이론 346
20. 작업동기부여 방법 347
21. 안전교육 시 근로자의 동기부여방안과 안전교육제도 개선방법 348
22. 인간공학 350
23. 인간과오(Human Error) 351
24. Man-Machine System 354
25. 작업강도(RMR) 357
26. 피로 359
27. 바이오리듬 361
28. 불쾌지수와 체감온도 363
29. 동작경제의 3원칙 364
30. Lay Out(기계설비 배치) 365
31. 시스템 안전 366
32. 시스템 안전분석기법 368
33. 안전성 평가(Safety Assessment) 370
34. Risk Management 372
35. 시스템 안전상 안전설계기법 375
36. Fail Safe와 Fool Proof 377
37. Back Up System 379
제6장 건설현장 안전관리
1. 공사착공 전 안전점검사항 381
2. 공사착공에서 준공까지 안전관리 주요업무 383
3. 건설현장에서 안전관리조직의 문제점과 개선대책 385
4. 건설현장 안전활동 387
5. 건설현장 안전시공관리체계 389
6. 건설안전관리의 장애요인과 개선방안 391
7. 건설업의 안전상 특성과 재해예방대책 394
8. 건설재해예방을 위한 공정단계별 문제점과 안전대책 396
9. 건설현장에서 발생하기 쉬운 사고의 종류와 원인, 안전대책 398
10. 건설현장에서 추락재해 발생원인과 대책 400
11. 개구부의 추락방지시설 404
12. 추락방지망 406
13. 안전난간대 408
14. 건설현장에서 전도재해 발생유형과 예방대책 410
15. 건설현장의 낙하·비래 재해예방 중점점검사항 413
16. 낙하·비래재해 방지시설 415
17. 붕괴위험방지 418
18. 최근 건설재해 추이와 효율적인 안전관리방안 419
19. 휴일 건설현장 안전관리대책 422
20. 고령근로자 재해특성 및 안전관리대책 424
21. 외국인근로자 재해현황 및 지원대책 426
22. 중소규모 건설공사의 재해발생 특성과 예방대책 428
23. 건설공사 하도급에 따른 안전관리의 문제점과 대책 430
24. 건설현장에서의 안전보건 11대 기본수칙 중 사업주, 근로자가 실천할 사항 432
25. 건설공사 보험가입의 필요성과 건설현장 위험요인 434
26. 건설현장에서 위험작업과 작업중지 및 조치사항 436
27. 건설현장에서 계절별 위험요인과 안전대책 438
28. 건설현장에서의 화재원인과 안전대책 441
29. 가설전기재해(감전) 예방대책 445
30. 전기기계·기구의 안전대책 447
31. 작업장 조도기준 450
32. 색채조절이 안전에 미치는 효과 452
33. 건설현장의 밀폐공간 작업시 안전대책 453
34. 근골격계질환의 예방대책 454
35. 폭염의 정의, 열사병 예방 3대 기본수칙 455
36. 건설업체 산업재해예방활동 실적 평가기준 456
37. BIM 457
38. 재해발생 시 조치순서 458
39. 응급처치 요령 459
40. 현장 구급약품 460
제3편 건설안전기술
제1장 가설공사의 안전
1. 가설공사 463
2. 가설통로 466
3. 비계의 재해유형과 안전대책 469
4. 강관비계 471
5. 강관틀비계 474
6. 달비계 476
7. 달대비계 477
8. 말비계 478
9. 이동식 비계 480
10. 시스템비계 483
11. 가설도로 485
12. 가설 울타리 487
13. 가설기자재 488
제2장 토공사 및 기초공사의 안전
1. 토공사계획 시 단계별 유의사항 491
2. 토질조사(지반조사)의 종류와 방법 494
3. 굴착공사 전 사전조사 498
4. 터파기 공법(굴착공법)의 종류와 특성 499
5. 굴착공사의 표준안전작업지침 503
6. 인력굴착작업 시 준수사항 508
7. 기계굴착 및 발파굴착 작업 시 준수사항 511
8. 깊은 굴착작업 시 준수사항 513
9. 토공사의 안전관리 514
10. 암질판별 518
11. 비탈면(토사굴착면)의 붕괴원인과 방지대책 520
12. 비탈면의 계측 523
13. 연약지반의 문제점 및 대책 524
14. 지반조건별 연약지반의 개량공법 526
15. 연약지반 개량(안정)공법 528
16. 배수공법의 종류와 특성 532
17. Well Point 공법 535
18. 지하수위 저하공법 537
19. 구조물의 침하원인과 대책 540
20. 부등침하의 원인과 대책 542
21. Under Pinning 공법 543
22. 흙막이공법의 종류 545
23. 흙막이 지보공의 안전 547
24. Earth Anchor 공법 549
25. 역타(Top-Down) 공법 552
26. 흙막이벽 공법의 특징과 안전대책 554
27. 지중연속벽(Slurry Wall) 공법 557
28. 지중연속벽중 SCW 공법 559
29. 흙막이 구조의 안전성 검토 562
30. 흙막이 붕괴원인과 방지대책 565
31. 흙막이 시공 시 안전관리 566
32. 흙막이공사 시 주변침하의 원인과 대책 568
33. 흙막이공사의 계측관리 570
34. 근접시공기법 573
35. 기존구조물 근접작업 시 안전대책 575
36. 도심지 근접시공에 따른 계측관리 576
37. 지하매설물의 조사와 관리대책 578
38. 지하철 건설공사의 재해와 방지대책 580
39. 기초의 분류와 안전관리 583
40. 얕은 기초(직접기초) 584
41. 말뚝기초 시공법의 분류와 특징 585
42. 기성 콘크리트 말뚝시공 시 안전대책 587
43. 현장타설 콘크리트말뚝의 공법과 안전대책 591
44. 부마찰력 593
45. 케이슨(Caisson) 기초 595
제3장 철근 콘크리트 및 강구조물 공사의 안전
1. 거푸집의 종류와 구조 598
2. 거푸집의 조립·해체 시 준수사항 600
3. 거푸집의 조립부터 해체까지 유의사항 601
4. 작업발판 일체형 거푸집 602
5. 동바리 안전 603
6. 동바리 수평연결재 설치 605
7. 거푸집 동바리 붕괴발생 주요원인과 안전작업방법 606
8. 거푸집 동바리의 존치기간 609
9. 거푸집 동바리작업 시 재해유형과 안전대책 610
10. 시스템 동바리 612
11. 거푸집 동바리설계 시 고려하중 614
12. 콘크리트 타설 시 거푸집의 붕괴방지대책 617
13. 펌프카로 콘크리트 타설 시 안전대책 619
14. 콘크리트 성질과 재료분리 방지대책 620
15.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안전성 검사 요령 623
16. 콘크리트 시험의 종류 625
17. 콘크리트의 동결융해 627
18. 콘크리트의 중성화 628
19. 알카리 골재반응 630
20. 콘크리트 중의 염화물 허용량과 염해 631
21. 콘크리트의 비파괴시험 633
22. 강재의 비파괴시험(현장시험) 634
23. 콘크리트 구조물의 노후화 종류 635
24. 콘크리트 구조물의 노후화(내구성 저하) 원인과 대책 637
25.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발생 원인과 대책 640
26. 콘크리트 균열측정과 보수방법 642
27.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및 보강공법 644
28. 화재 시 콘크리트 구조의 폭열현상 및 대책 646
29. 특수 콘크리트의 종류별 정의와 특징 648
30. 한중 콘크리트 653
31. 철골공사의 건립계획 검토사항 655
32. 철골작업 시 안전시설 657
33. 강구조물의 노후화 종류 661
34. 부식의 원인과 대책 662
35. 철근의 부식원인과 방지대책 666
36. 철골부재의 접합 668
37. 용접결함의 원인과 대책 670
38. 전기용접작업 시 안전 및 보건대책 673
제4장 토목공사의 안전
1. 교량가설공법의 종류와 안전대책 676
2. 교량구조물의 조사와 안전성 평가(교량의 정밀안전진단) 678
3. 교량의 파손원인과 유지관리, 보수·보강방법 683
4. 교량의 계측시스템 687
5. 터널공사 689
6. 지보공이 없는 터널굴착공법 692
7. 터널 발파작업 시 안전준수사항 694
8. 터널의 굴착작업 시 용수대책 696
9. 지하철공사(Open Cut 공법)의 안전 698
10. NATM 공법 700
11. 숏크리트의 안전대책 702
12. Rock Bolt 시공시 안전준수사항 704
13. 터널작업 시 안전 706
14. 터널작업 시 재해예방대책 708
15. 터널공사의 작업환경대책 711
16. 터널계측의 목적과 종류 714
17. 댐의 분류와 파괴원인 및 안전대책 716
18. 댐 건설이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719
19. 댐(하천보)에서 유수전환방식(가물막이) 720
20. Piping 현상의 원인과 방지대책 721
21. 하천제방의 붕괴원인 및 대책 722
22. 옹벽구조물의 종류와 작용하는 토압 724
23. 옹벽의 안전성 검토, 붕괴원인과 안전대책 726
24. 옹벽시공시 사고원인과 예방대책 729
25. 보강토 옹벽의 안전성 검토 733
제5장 건축공사의 안전
1. 건축물의 구조적 하자원인과 방지대책 735
2. 부실공사의 원인 및 방지대책 737
3. 건축공사(건설업 특성)의 안전관리 문제점과 재해유형별 대책 739
4. 초고층 건축공사의 재해원인과 안전관리대책 742
5. Curtain Wall의 종류와 시공 시 주의사항 746
6. 갱 폼(Gang form) 748
7. 철근 공사의 안전 751
8. 데크플레이트 공사의 안전 754
9. 무량판 슬래브 공사의 안전 755
10. 방수공사의 안전 756
11. 도장공사의 화재위험요인, 작업 전 점검사항 및 재해예방대책 758
12. 건축시공의 자동화와 로봇화 759
13. 건축현장의 위험기계·기구별 방호장치 및 사용상 주의사항 762
14. 노후건축물의 철거 765
15. 해체공사 전 확인사항 766
16. 해체공사의 재해유형과 안전 및 공해방지대책 768
17. 해체공법의 종류와 특징 771
18. 절단 톱 공법 774
19. 비폭성 파쇄재에 의한 팽창압공법 775
20. 10층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해체 시 공법제시와 안전유의사항 777
21. 발파식 해체공법 779
22. 발파작업의 안전(화약류 취급 시 준수사항) 782
제6장 장비분야의 안전
1. 건설 양중기 786
2. 타워 크레인(Tower Crane) 788
3. 타워 크레인의 안전 791
4. 타워 크레인의 조립ㆍ해체 시 유의사항 795
5. 고층 건물시공 시 타워 크레인 안전대책 797
6. 이동식 크레인의 안전 799
7. 크레인의 중량물 달기작업 802
8. 리프트(Lift)의 안전대책 804
9. 곤돌라의 안전대책 807
10. 승강기의 안전대책 809
11. 양중기의 와이어 로프 811
12. 건설기계의 안전대책 812
13. 차량계 건설기계의 안전대책 814
14. 항타기·항발기의 안전대책 816
15. 고소작업대의 안전대책 818
제7장 장비분야의 안전
1. 건설과 환경 821
2. 건설폐기물의 처리 822
3. 폐콘크리트의 재활용 방안 824
4. 건설현장의 작업환경과 직업병 826
5. 건설현장에서 산소결핍 위험작업장의 종류와 재해원인 및 방지대책 829
6. 사무실 공기관리기준 833
7. 근골격계 질환의 주요위험인자 및 예방대책 834
8. 요통의 원인과 예방대책 836
9. 스트레스 837
10. 스트레칭 838
11. 건설공해 및 방지대책 839
12. 건설공사 시 교통안전대책 841
13. 건설 소음·진동 대처방안 843
14. 건설현장의 비산먼지 대책 845
15. 황사가 건설현장에 미치는 영향과 피해최소화 방안 847
16. 지구 이상기후에 따른 건설현장의 안전대책 849
17. 건설현장에서 악천후 시 조치방법 852
18. 바람에 의한 구조물의 안전대책 854
19. 낙뢰에 대한 재해예방대책 856
20. 지진피해와 내진대책 858
21. 지진이 우리나라에 미치는 영향과 안전대책 863
22. 구조물의 내진설계 867
23. 안전보건경영시스템(KOSHA-MS) 870
24. 건설공사 안전관리 종합정보망(CSI) 873
25. 자율안전 컨설팅 제도 874
부록
건설안전기술사 시험준비 877
산업안전지도사 시험준비 905